잡설
-
인플레이션 = 알콜(적당히 먹으면 좋은데 많이 먹으면 망한다)잡설 2021. 2. 20. 21:12
There's no such thing as a free lunch(밀턴 프리드먼) 인플레이션은 동일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함을 의미 가격이 오르기 전 자산을 가진 경우 도움이 되기도 함(주택, 주식) 소득은 인플레이션에 보조를 맞추지 못하여 구매력 감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활비 증가 인플레이션이 너무 심하면 경제에 타격을 줌 일반적 인플레이션은 연간 3~10% 경제 성장을 너무 빨리 진행시키다. 내일의 높은 가격을 피하기 위해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이 구매 공급자는 따라 잡을수 없다 임금도 마찬가지 결과적으로 일상적인 상품과 서비스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접근할 수 없는 가격이 책정됨 인플레이션은 가격을 높이고 구매력을 낮춤 연금 저축 및 국채의 가치를 낮춤 부동산 및 수집품과 ..
-
전기차 V2G(Vehicle to Load)잡설 2021. 2. 18. 16:42
최근 몇 년 동안 빈번하게 발생하는 대규모 자연 재해에 대응 필요 사람들이 대피소에 모이면 조명, 에어컨, 통신과 같은 편의 시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기가 필요 재난은 또한 정전을 일으켜 전체 인구에게 불편과 우려를 초래 지방 자치 단체의 전력망이 복구 될 때까지 임시 전력을 공급할 방법이 필요 기존의 발전기에는 몇 가지 단점이 존재 예를 들어 시끄럽고 배기 가스를 내뿜으며 연료 공급이 필요 오늘날 전기 자동차는 V2G (Vehicle to Grid), V2B (Vehicle to Building), V2H (Vehicle to Home), V2V (Vehicle to Vehicle) 제공 도서 지역에서 전기차를 마을 단위로 ESS로 활용하는 V2G(Vehicle to Grid) 실증 사업 진행 전..
-
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잡설 2021. 2. 17. 18:45
단백질 퍼스트 유명한 유레이 밀러(Urey-Miller) 실험에서 과학자들은 메탄, 물, 암모니아, 수소를 혼합하여 초기 지구의 대기를 시뮬레이션했다. 다음으로 그들은 번개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이 혼합물을 통해 전기 스파크를 발사했다. 이 과정은 아미노산과 다른 유기 화합물을 생산하여 초기 지구와 같은 조건들이 단백질의 구성 요소인 아미노산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하지만 용액에 있는 아미노산의 혼합물에서 온전한 기능을 하는 단백질로 가는 것은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예를 들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 속의 단백질은 더 긴 분자 사슬로 결합하기 보다는 분해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단백질이나 DNA가 먼저 나타났는지 묻는 것은 친숙한 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 문제를 제시한다. 단백질은 화학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