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
-
윤회설_4아버지 2020. 10. 6. 16:56
에드가 케이시의 리딩에서는 윤회는 대령에서 분리된 어떤 타락한 영혼들이 수없는 여러 생을 걸치는 중 혹은 내용적으로 점점 퇴화하는 경우보다는 영혼의 진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말한다. 결국은 착하고 현명한 고급 영혼이 되어가는 여정으로 윤회가 이루어짐을 말했다. 이것을 기독교 사상과 결부시켜보거나 불교 교리와 비교해 보아도 기독교의 윤회 부정 말고는 크게 배치되지 않는다. 기독교에서 신을 우주자연섭리의 기초 원리로 본다면 이것은 불교의 자성과 같은 것이고 즉 여래의 경지와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표현방법이나 그것을 그려내는 방법은 어떻게 다르던지 간에 말이다. 이와 동시에 에드가 케이시의 리딩에서 말하는 대령과도 동일하다. 불교가 말하는 청정무구한 자성에서 미망이 일어나 무명이 생기고 윤회의 길에 들..
-
윤회설_3아버지 2020. 10. 6. 16:02
여기서 구분 지어지는 것은 기독교 성경의 창세기에 천지창조 하나님이 취미로 아담과 하와를 만들었다는 상징적 비유와는 전혀 차원이 다른 데서 접근해야 할 문제인 것 같다. 그런데 지나 서미나라 박사가 에드가 케이시의 리딩에 의하면 말한 대령과 불교에서 말하는 깨닫기 전의 중생이 사후(死後)에 중유상태로 머문다는 것과의 관계 역시 비슷한 점이 많다고 할 수 있다. 에드가 케이시의 리딩이나 불교의 윤회설 모두 그 영혼이나 아뢰야식은 어떻게 전생(轉生)되도록 윤회의 길로 최초에 들어섰느냐 하는 점에는 많은 의문점을 갖고 있지만 두 설(說) 모두 윤회전생(輪回轉生)이 카르마와 인연에 의한 결과하는 데는 동일하다. 또 한 가지 불교에서는 단상이견이라는 것이 있다. 즉 세상의 모든 것은 내가 죽으면 그것으로 끝난다고..
-
윤회설_2아버지 2020. 10. 6. 01:20
이 윤회를 일으키는 것은 아뢰야식(阿賴耶識)으로 이것은 우주만유(宇宙萬有)의 종자로서 그 근본은 우주보다도 먼저 있었고 우주보다 나중까지 간다고 한다. 그 아뢰야식은 그 성품이 멸하지 않고 전생(轉生)을 한다고 한다. 그런데 그것이 현대 심리학의 심소(心巢)라고 한다면 그 아뢰야식은 세상을 살며 충동을 유발하고 다시 인연 또는 비 인연에 의한 훈습을 받게 된다고 한다. 그것은 피 훈습과 차 훈습으로 나타나는데 피 훈습은 본인의 처음 의사와 관계없이 남으로부터 배워서 형성되는 것이며 차 훈습은 여러 가지 주위 사정에 따라 자의적으로 행해지는 훈습이라고 한다. 이것이 충동과 훈습에 의하여 또 다른 성질의 복잡한 아뢰야식으로 변질이 되는데 여기까지는 근대 심리학과 크게 다를 것이 없으나 근대 심리학이 심소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