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시2
    아버지 2020. 6. 11. 15:19
    728x90
    반응형

     

     

     

     의 도표와 같으나 지의 시에서는 측측 또는 평평의 두 글자 중 뒤에 자만 중시하고 에 자는 측평에 구애 받 는다.  글자의 측평  1,3,5 , 2,4불동, 2,6 동이라는 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또 다른 금기가 있기 때문에 측평을 두 자씩 맞추면 거러운 적용을 게 거의 없으나 자만을 맞추었을 때는 주의해야 할 여러 문들이 생한다. 5언시의 2번째 글자와 7언시의 4번째 글자가  자만 거나 은 경우,  은 것을 고 또는 학(鶴膝)이라 하고,  은 것을 고 또는 (蜂 腰)라 하여 된다. 비운(운의 이 아 )에서는 가하다고는 하나 가 하려 한다.

     

     八病十忌라는게 있는데, 이것을 구체적으로 다 여기에 소개 할 수는 없고, 우선 대강 측평 관련된 중요한 것만 말하면 전두, 전두 한다. , 구라면  자가 4구 모두 이거나 이면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구와 구 사이에 평측 연결 되면 가시개이라고 하여 된다.  항직(項 直)이라 해서 에 세자가 나란히 으면  된다.  5번째글자를 추면 가하다.  7언시에서 반(返目)이라 해서 2 3의 글자가 , 5번째 글자가 또 으면  된다.이때도 다섯 번째 글자를 추면 가하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 가지로 적용된다. 

     

    그러나 5번째 글자를 이거나 낮출, 측평측 또는 평측평이 되면 (蒙上簾)이라 하여 한 수에 한 군데 이상은 된다. 또 하삼련(下三連)이라 하여 아래 3자가 나란히 거나 으면  된다. 도표를 그려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반응형

    '아버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견조  (0) 2020.06.13
    폐차(2009)  (0) 2020.06.13
    한시4  (0) 2020.06.12
    한시3  (0) 2020.06.12
    한시  (0) 2020.06.09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