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x90반응형
이 외에도 범제(犯題)라고 해서 제목의 글자가 시에 들어가는 것을 피한다. 특히 승구와 결구에 들어가는 것을 금한다. 제목이 5자 이상이면 관계치 않는다. 그러나 율시에서는 5자 이상이라도 승구와 전구에서는 가급적 쓰는 것을 피한다.
또 대가 맞지 않은 것을 대불합(對不合)이라고 하여 안 된다.그리고 운에 들어간 자의 운목에 소속된 글자를 운이 아닌데서 쓰면 안 되고 같은 글자는 3자까지만 한 줄에서 가능하고 간혹 대구가 아닌 기승이나 전결구끼리에 한해 내외구 합쳐 3자까지 허용되는 경우는 있으나, 아무 데나 글자를 중복 해서 쓸 수 없다. 또 가급적이면 같은 뜻의 글자도 중복해서 쓰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첫 머리에 쓰면 안 되는 글자도 있다. 예를 들면 斷, 失 聖 자 따위 들이다. 이외에도 한수의 시에단 한 군데에 한해서만 허용되는 몽상렴말고도 상체렴이니 하여 따지는게 많은데 너무 번거로워 다 말할 수는 없고 이것으로 줄이며 구성과 작법의 대강을 설명했다.반응형